티스토리 뷰
1. 방산주
① 산업 배경
미국은 세계 최대의 국방비 지출 국가이며,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시절부터 "강한 군대"를 강조했습니다. 향후에도 국방비 증액, 첨단 무기 체계 개발, 우주군(US Space Force) 확대 등이 추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
② 주요 기업
록히드마틴(Lockheed Martin, LMT)
F-35 전투기, 미사일 방어 시스템(THAAD, Patriot), 우주 관련 사업까지 아우르는 미국 최대 방산기업입니다.
노스럽 그러먼(Northrop Grumman, NOC)
B-21 스텔스 폭격기, 무인 항공기, 우주·사이버 보안 기술에 강점이 있습니다.
레이시온(Raytheon, RTX)
미사일(토마호크, AMRAAM), 레이더, 전자전 장비 등으로 유명합니다.
③ 트럼프 정책과 연결
군사력 강화 및 국방비 증액 → 전투기, 미사일, 우주 방어 시스템 수요 증가 → 위 3사의 매출 확대 가능성.
2. 미국 내 제조업 관련주
① 산업 배경
트럼프는 "미국 우선주의" 정책을 내세우며 리쇼어링(해외 생산기지의 본토 이전)을 강하게 추진했습니다. 관세 강화와 해외 생산 억제 정책은 미국 내 제조업 기반을 강화하는 효과를 노립니다.
② 주요 기업
GE (General Electric)
항공 엔진, 발전설비, 헬스케어 기기 등을 생산하는 전통 제조업체. 리쇼어링과 함께 산업 전반 투자 확대의 수혜 가능.
캐터필러(Caterpillar, CAT)
건설기계, 광산 장비, 디젤 엔진 등 제조. 제조업·인프라 투자와 밀접하게 연결.
테슬라(Tesla, TSLA)
전기차 대표 기업으로, 트럼프의 친환경 정책은 약하지만, 미국 내 생산 확대와 리쇼어링 측면에서 간접 수혜 가능.
③ 트럼프 정책과 연결
해외 생산 규제 강화 → 미국 내 공장 확충 → 제조업 관련 기업들의 장기 성장 기반 강화.
3. 에너지 자원주
① 산업 배경
트럼프는 "에너지 독립(Energy Independence)"을 강조하며 친화석연료 정책을 펼쳤습니다. 바이든 정부가 친환경·탈탄소 중심이었다면, 트럼프는 셰일가스·석유 산업 부흥에 초점을 둘 가능성이 높습니다.
② 주요 기업
엑슨모빌(ExxonMobil, XOM)
세계 최대 석유·가스 기업 중 하나로, 시추·정제·석유화학까지 밸류체인 전체를 보유.
셰브론(Chevron, CVX)
엑슨모빌과 함께 미국 2대 메이저 에너지 기업. 석유·가스 개발 및 화학 부문 강자.
③ 트럼프 정책과 연결
셰일가스 개발 지원, 화석연료 규제 완화 → 원유·가스 공급 확대 → 에너지 메이저 기업의 매출·이익 확대 기대.
4. 건설 인프라 관련주
① 산업 배경
트럼프는 "미국 인프라 재건"을 강조해왔습니다. 도로, 교량, 철도, 공항, 군사기지 등 대규모 인프라 투자 공약을 내걸었습니다.
② 주요 기업
캐터필러(Caterpillar, CAT)
앞서 제조업 수혜주로도 언급된 기업이지만, 건설기계 대표 기업으로 인프라 투자 확대 시 직접적인 수혜.
유나이티드 렌탈스(United Rentals, URI)
미국 최대 건설장비 임대업체.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 증가 → 장비 임대 수요 급증.
③ 트럼프 정책과 연결
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확대 → 건설장비 수요 증가 → 장비 제조사(CAT)와 임대업체(URI) 수혜.
🔑 정리
방산주(LMT, NOC, RTX) → 국방비 증액, 우주군 강화
제조업 관련주(GE, CAT, TSLA) → 리쇼어링, 미국 내 생산 확대
에너지 자원주(XOM, CVX) → 셰일가스·석유 개발, 에너지 독립
인프라 관련주(CAT, URI) → 대규모 건설 투자
👉 전반적으로 트럼프의 “큰 정부 + 미국 우선주의” 정책은 특정 산업(국방·제조·에너지·인프라)에 직접적인 자금 유입 효과를 주게 됩니다.
미국주식 트럼프 수혜주 종목별 추천